즐겨찾기로추가 모바일모드
회사소개 | 구독신청 | 광고문의 | ENGLISH | 中文版
202410월22일tue
로그인 | 회원가입
트위터로 보내기 미투데이로 보내기 요즘으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
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기사 이메일 보내기 프린트하기
해양플랜트 국산화 1,750억불 수입대체
등록날짜 [ 2013년11월12일 08시20분 ]

우리 조선업의 새로운 돌파구로 여겨지는 해양플랜트 산업의 전체 분야에 걸친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업계를 지원할 ‘해양플랜트산업지원센터’가 경남 거제에 설립된다.
 
해양수산부(장관 윤진숙)는 지난 8일 경남 거제시청에서 경상남도 및 거제시,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해양플랜트산업지원센터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.
 
내년 5월 착공해 2015년까지 거제시 장목면 일대 약 17만㎡에 들어서는 지원센터 건립에는 정부가 252억원을 투입하고 경남도와 거제시와 부지를 제공한다. 해양플랜트 산업의 생애주기에 걸친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업계를 지원하는 것이 주임무다.
 
해수부 자료에 따르면 해양플랜트 생애주기는 ‘탐사-시추-설계-건조-운반-설치-운영-해체(철거)’로 부가가치 비중(%)은 ‘10-10-10-25-5-5-30-5’이며, 우리나라는 건조 및 제작 분야 경쟁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건조를 제외한 나머지 부문 경쟁력은 미국, 프랑스, 영국 등에 비해 모두 중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 
전·후방 산업 연관 효과와 기술파급 효과가 큰 세계 해양플랜트 시장은 신흥국 에너지 수요급증에 따른 심해유전 개발이 촉진돼 2030년까지 연평균 6.7%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. 하지만 국내 3대 조선소는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(FPSO) 등 고가품 제작에 막대한 기술료를 해외에 지불하는 실정이다.
 
따라서 이 분야 원천기술을 국산화하면 2015년에 805억 달러의 수입대체 효과가 있고 2030년이면 그 규모가 1,7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.
 
우리나라가 건조부문 이외의 플랜트 산업분야에서는 후발주자이지만 세계 수준에 오른 건설·철강·전자·조선업간 시너지가 발휘되면 조기에 선진국 추격이 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.
 
지원센터는 국내 조선업체의 해양플랜트산업 비중이 높아지면서 요구되는 기술의 국산화를 이뤄 기술자립을 도모하고 해양플랜트 설비양산에 필수적인 기자재의 품질인증, 국제표준개발, 수조시험장비 실증실험 등을 지원한다. 또 산·학·연을 연계해서 업계를 지원할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.
 
구체적인 운영계획은 1단계로 2015년까지 종합연구동, 기자재 시험평가 다목적시험동 등 센터 기반을 구축하고, 2단계로 2020년까지 ▲설계 및 엔지니어링 지원 ▲기자재 국산화/상용화 ▲전문인력 교육훈련 ▲산·학·연 연계 기술/정보협력 지원체계 구축, 3단계는 2030년까지 특수시험동, 교육훈련동(장비훈련 시뮬레이션동) 등을 건립하는 것이다.
 
트위터로 보내기 미투데이로 보내기 요즘으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
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기사 이메일 보내기 프린트하기
본 정보서비스에 관한 지적소유권 및 모든 권리는 “일간조선해양”을 발행하는 ㈜아태조선해양서비스 혹은 정보 제공자에게 귀속됩니다. 또한 본 정보서비스는 방법의 여하, 유·무상을 불문하고 계약자 이외의 제3자에게 양도 혹은 이용시킬 수 없습니다.